NEWS
home

기업들은 왜 이렇게 전환사채를 많이 발행할까?(feat.전환사채 개념 이해하기)

업로드일
2024/12/14
구분
ACCOUNTING
작성자
1 more property
안녕하세요. 크리에이티브 파트너스 Aiden 입니다!
증권시장에서 다수의 기업들이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스타트업을 비롯하여 상장사들까지 한 회사에서 적게는 1회 많게는 수십 회차의 전환사채를 발행하기도 한답니다.
오늘은 기사에서 전환사채라는 단어를 접해봤지만, 생소한 단어에 어려움을 느꼈을 분들께 투자자와 발행자 관점에서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끝까지 읽으시면 기업은 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지 그리고 투자자는 왜 전환사채에 투자하는지 명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이니 필독 부탁드립니다!!

전환사채란?

일반 회사채에 전환권이라는 옵션이 부여된 상품인데요. 전환권이란 계약에 따른 전환 가격으로 전환사채를 회사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즉, 전환사채 투자자는 투자 시점에는 사채권자이지만 전환권을 행사함으로써 사채가 주식으로 전환되어 회사의 주주가 되는 것입니다. 전환권이라는 특성 때문에 구주주의 지분율 희석 효과가 발생하게 되므로 전환사채 발행은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추가로, 전환사채라는 명칭에는 드러나지 않지만, 대부분의 전환사채는 조기상환청구권리픽싱이라는 독특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조기상환청구권이란 만기 이전에 투자자가 사채의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만약 현재 전환 가격보다 주가가 낮고, 이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으면 투자자는 회사에 조기상환청구권을 행사함으로써 만기 이전에 사채 원금과 이자를 회수할 수 있는 것입니다.
리픽싱은 회사 주가가 하락하거나 상승하는 경우 전환 가격을 주가 변동에 맞춰 하향 또는 상향 조정하는 조항인데요. 일반적으로 전환 가격의 조정은 1개월 또는 3개월 주기로 일정 기간의 평균 주가를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투자자 입장에서의 전환사채

투자자에게 전환사채는 상황에 따라 조기상환, 만기상환 및 전환권을 선택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유동적인 금융상품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계약에 따라 최초 전환가격을 10,000원으로 설정한 전환사채에 대하여 투자자는 아래 각 CASE 별로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CASE 1> 주가가 5,000원으로 하락했고, 앞으로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하향 리픽싱된 전환 가격에 따라 더 많은 지분을 확보하기 위해 전환권을 행사
주가 하락에 따라 회사의 미래 전망이 부정적일 경우 조기상환청구권을 행사하여 사채 원금을 보존
<CASE2> 주가가 5,000원으로 하락했지만, 앞으로 주가가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하향 리픽싱된 전환 가격에 따라 더 많은 지분을 확보하기 위해 전환권을 행사하고, 향후 주가 상승 시 차익 실현
<CASE3>주가가 15,000원으로 상승한 경우
상향 리픽싱 주기 도래 전에 기존 전환 가격으로 전환권 행사 후 차익 실현 또는 지분 확보
<CASE4>주가 상승, 하락과 관계없이 향후 예측의 불확실성이 큰 경우
자금의 유동성 등에 따라 조기상환청구권 혹은 만기상환청구권 행사

발행자(회사) 입장에서의 전환사채

얼핏 보기에 전환사채는 투자자에게 유리한 옵션이 많다 보니 회사 입장에서는 단점만 있는 건 아닌지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에서 살펴본 투자자에게 유리한 옵션이 발행자 입장에서 전환사채의 단점이라는 것은 눈치채셨을 것 같은데요. 그럼 반대로 지금부터 발행자 입장에서 전환사채의 장점을 살펴보겠습니다.
<낮은 이자율>
전환권이 부여되지 않은 일반 회사채에 비해 전환사채의 이자율이 다소 낮습니다. 실제로, 일부 전환사채의 경우 액면이자율이 0%인 경우도 있는데요. 전환사채에 부여된 투자자에게 유리한 여러 옵션들의 가치만으로 자금 조달이 이루어지는 경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자금 조달의 용이함>
실제로 전환사채의 경우 에서 살펴본 것처럼 투자자에게 유리한 옵션이 많습니다. 그것은 곧 많은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투자 방식임을 의미하기도 하는데요. 금융기관 차입, 유상증자 등의 방식으로 자금 조달이 어려운 기업들은 전환사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재무구조의 개선>
전환권이 행사되는 경우 사채에 해당하는 부채가 감소하고 자본이 증가하므로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마치며

모든 상장사들은 전환사채를 발행할 경우 전자공시시스템(dart.fss.or.kr)에 전환사채 액면이자율, 전환 가격, 주요 옵션 조항 등의 발행 조건을 포함한 주요사항보고 공시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내용을 바탕으로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전환사채 발행결정 공시를 읽어보면 더 확실히 전환사채를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전환사채와 관련된 회계·세무 이슈를 다뤄보겠습니다.
회사와 투자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글이 되면 좋겠습니다. 전환사채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크리에이티브 파트너스로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
You Create, We Support!
더 큰 꿈을 향해 나아가는 스타트업과 크리에이터의 성공을 위해 세무/회계 서비스를 넘어 CFO 아웃소싱 서비스, 투자 자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크리에이티브 파트너스 뉴스레터 구독하기 → 카카오톡 크리에이티브 파트너스는 매월 초, 카카오톡 친구 추가를 해주신 분들에게 세무/회계, 크파 관련 소식을 전합니다!